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84

초 저학년 아이도 책을 읽고 설명할 수 있는 방법 3가지 “책 읽었는데… 뭐라고 말하지?” “책 읽고 뭐가 기억나?”“어떤 내용이었어?”“재밌었어? 왜?”이렇게 물었더니 아이가 갑자기 말이 없어졌다면… 혹시 이런 생각 해보신 적 있으신가요?‘분명히 집중해서 읽었는데, 설명하라니까 막막한가?’그림책은 재밌게 읽지만, 그 내용을 누군가에게 말로 풀어내는 건 또 다른 능력이에요.하지만 괜찮아요!초등학교 저학년 아이도 자신 있게 그림책 내용을 설명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아주 쉬운 방법 세 가지, 지금 알려드릴게요.그림책 설명, 이렇게 도와주세요!✅ 1단계. “처음 – 중간 – 끝” 이야기 흐름을 잡아봐요아이들은 이야기를 시간 순서대로 정리하면 훨씬 말하기 쉬워져요.그래서 처음에는 이렇게 질문해보세요:이야기는 어떻게 시작됐어?중간에 무슨 일이 생겼어?마지막엔 어떻게 끝났어?💡 팁: 그림책을 다시 펼쳐.. 2025. 4. 4.
“무슨 말인지 알겠는데, 뭐가 중요한 거야?” 핵심어 & 핵심문장 뽑아내는 실전 기술 열심히 읽었는데… 막상 떠오르는 건 “음… 그냥 좋은 말이었어”한참 밑줄도 긋고 정리도 해봤는데, 시간이 지나면 머릿속엔 하나도 안 남아 있더라고요.혹시 이런 경험, 한 번쯤 해본 적 있지 않으세요?핵심어와 핵심문장, 이 둘만 제대로 뽑아낼 수 있다면아무리 긴 글도 내 머릿속에 “딱” 하고 남게 돼요.정보를 빠르게 파악하고, 요약하고, 글로 써먹는 데 꼭 필요한 핵심 추출력!오늘은 이 능력을 키우는 방법을 하나하나 알려드릴게요. 핵심어 & 핵심문장, 이렇게 찾으면 된다!✅ Step 1. 핵심어는 ‘반복’과 ‘강조’에 숨어 있어요글에서 가장 중요한 단어는 여러 번 반복되거나, 강조해서 쓰여요.다음 포인트를 중심으로 보면 핵심어가 눈에 띄기 시작해요.✔️ 반복되는 단어같은 단어가 여러 번 등장하면, 글쓴이가.. 2025. 4. 4.
“이 글, 요점이 뭐야?” 정보성 글을 꿰뚫는 독해력과 요약법 “한 문단이 이렇게 길다고요…?”“읽고 나면 기억이 안 나요.”“요점만 정리된 버전 없을까요?”이런 생각, 한 번쯤 해본 적 있지 않으세요?정보성 글은 읽어야 할 것도, 알아야 할 것도 많은데 정작 핵심을 파악하기 어렵다는 게 문제예요.하지만 사실, 정보성 글도 ‘패턴’만 알면 요점을 쏙쏙 뽑아낼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요.오늘은 그 패턴을 읽는 눈 + 요약하는 노하우를 단계별로 알려드릴게요.이제 긴 글도 자신 있게 읽고, 정리해보아요!🧠 본문: 정보성 글을 읽고 요약하는 3단계 공식✅ 1단계. ‘글의 구조’부터 파악하기정보성 글은 보통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어요.‘서론 – 본론 – 결론’, 이 기본 흐름은 대부분의 글에 적용돼요.서론: 글을 쓰게 된 이유나 문제 제기본론: 해결책, 근거, 정.. 2025. 4. 4.
“퍼저 나갔다” VS “퍼져 나갔다” “퍼저 나갔다”가 맞을까, “퍼져 나갔다”가 맞을까?말할 땐 자연스럽게 “퍼져”라고 하면서도,글을 쓰다 보면 괜히 혼란스러워지는 그런 단어들 있죠.✔ 퍼지어?✔ 퍼져?왜 ‘퍼지다’는 ‘퍼져’로 바뀌는 걸까요?그냥 줄여 쓴 건가요, 아니면 문법적으로 이유가 있는 걸까요?✅ 1. ‘퍼지다’는 동사다기본형: 퍼지다어간: 퍼지-어미: -다 (기본형에서의 어미)근데 우리가 문장에서 실제로 쓸 땐 '퍼지다'라는 기본형 그대로 쓰는 게 아니라문맥에 따라 다양한 활용형으로 바뀌지.예를 들어:불이 사방으로 퍼져 나갔다.소문이 빠르게 퍼져 버렸다.여기서 핵심은 → 동사 ‘퍼지다’가 연결어미 ‘-아 / -어 / -여’와 만나서 변화한다는 것!✅ 2. 왜 **‘-어’**가 붙는가? (중요!)이건 어간의 모음이랑 관련이 있어... 2025. 4. 2.
📌 “할수있다” vs “할 수 있다”, 뭐가 맞는 걸까? “이건 붙여 써야 할까, 띄어 써야 할까?”글을 쓸 때마다 우리를 멈칫하게 만드는 것 중 하나, 바로 띄어쓰기예요.특히 “할 수 있다”, “볼 수 있다” 같은 표현을 쓸 때 자꾸 헷갈리곤 하죠.✔ “할수있다”?✔ “할 수 있다”?이럴 땐 **‘의존 명사’와 ‘관형사형 동사’**라는 개념을 알면띄어쓰기의 원리를 훨씬 쉽게 이해할 수 있어요.🧩 의존 명사란?의존 명사는 말 그대로**“혼자 쓰이면 어색하고, 앞에 오는 말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 명사”**예요.대표적인 의존 명사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어요:수, 데, 적, 것, 지, 바, 만큼, 뿐 등예문을 보면서 감 잡아볼게요👇나는 할 수 있어.→ ‘수’는 **‘하다’**라는 동사에 의존해서만 의미를 가지는 명사예요.→ 그래서 ‘할’과 ‘수’는 띄어 써야.. 2025. 4. 2.
책 요약,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 “책을 다 읽긴 했는데, 무슨 말을 써야 할지 모르겠어요…”책을 읽고 난 뒤, 글을 써야 할 일이 생기면 막막할 때가 많아요.내용이 너무 많아서 뭐부터 써야 할지 모르겠고,줄거리를 쓰자니 감상 같고, 감상을 쓰자니 내용이 빠진 것 같고…그럴 때 필요한 게 바로 ‘요약하는 방법’을 아는 거예요.이번 글에서는 책을 요약하는 기본적인 방법과 순서, 그리고 예시까지 함께 정리해볼게요!✅ 책 요약, 이렇게 해보세요!책의 종류부터 파악하기→ 이야기책(소설), 정보책(설명서), 그림책, 인물책 등 종류에 따라 요약 방식이 달라져요.핵심 내용을 뽑아내기→ 인물, 사건, 주제 중 중심이 되는 내용 3~5가지만 골라요.순서대로 정리하기→ 처음, 중간, 끝으로 나눠서 시간의 흐름대로 내용을 요약해요.자신의 말로 다시 쓰기→.. 2025. 4.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