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맞춤법4

자주 헷갈리는 맞춤법+띄어쓰기 30가지 - 3탄 ✍️ "이제는 익숙하다고 생각했는데, 또 틀렸다고요?"맞춤법은 마치 숨은 그림 찾기 같아요.자신 있게 쓴 글도 다시 보면 헷갈리는 표현이 숨어 있곤 하죠.1탄, 2탄을 통해 많이 정리했지만, 여전히 우리 주변엔 익숙하면서도 실수하기 쉬운 표현들이 많답니다.이번 3탄에서는 1, 2탄과 겹치지 않는 새로운 맞춤법 30가지를 정리해볼게요.~로써 vs ~로서, 않을/안을, 웃옷/윗옷처럼 많이 혼동되는 표현도 함께 담았어요.  ✅ 놓치기 쉬운 맞춤법 30가지 (3탄) 있을꺼야 (X) → 있을 거야 (O)예: 걔는 아마 지금쯤 집에 있을 거야.안할게요 (X) → 안 할게요 (O)예: 이제 다시는 그런 말 안 할게요. 기회가 되면 (O) vs 기회가 되다면 (O) vs 기회가 되서 (X)→ 이유나 조건을 말할 땐 되면/된.. 2025. 3. 28.
헷갈리지만 꼭 알아야 할 맞춤법 30가지 (2탄)✍️ "왜 매번 쓰는 단어인데, 맞춤법은 자신 없을까요?"누구나 글을 쓸 때 한 번쯤은 손이 멈칫하죠.'이게 맞나?', '이렇게 써도 되는 걸까?' 고민하면서 검색창에 손이 가기도 해요.자주 쓰는 표현일수록 오히려 더 무심코 틀리게 되는 경우가 많아요.맞춤법은 나도 모르게 습관처럼 잘못 쓰고 있을 수 있어요.그래서 오늘도 헷갈리기 쉽지만 꼭 짚고 넘어가야 할 맞춤법 30가지를 정리해볼게요.하나씩 차근차근 익히다 보면 글이 더 자연스럽고 매끄럽게 바뀔 거예요.✅ 성인도 자주 틀리는 맞춤법 30가지 (중복 없이!)~할려고 (X) → ~하려고 (O)예: 공부하려고 일찍 일어났어요.낼름 (X) → 냉큼 (△) / 덥석 (O)예: 간식을 덥석 집어 먹었어요.예기치 못한 (O) vs 얘기치 못한 (X)예: 예기치 못한 .. 2025. 3. 28.
성인도 자주 틀리는 맞춤법 30가지 ✍️ "글을 많이 써도, 왜 맞춤법은 자꾸 헷갈릴까요?"책도 많이 읽고, 글도 자주 쓰는데도 맞춤법은 가끔씩 우리를 멈칫하게 만들어요.특히 친구에게 메시지를 보내거나, 블로그에 글을 올릴 때 ‘이게 맞나?’ 싶어 검색해보게 되죠.실제로 맞춤법 실수는 국어 실력과 상관없이 누구나 할 수 있어요.그래서 오늘은 성인도 자주 틀리는 맞춤법 30가지를 예시와 함께 정리해보았어요.눈으로 익히고, 직접 써보면서 자연스럽게 익혀볼까요?✅ 자주 틀리는 맞춤법 30가지되요 (X) → 돼요 (O)예: 지금 가도 돼요?안된다 (X) → 안 된다 (O)예: 지금은 안 된다고 했잖아.왠지 (O) vs 웬지 (X)예: 왠지 오늘은 좋은 일이 생길 것 같아.예쁘다 (O) vs 이쁘다 (△)예: 그 그림 정말 예뻐요.낫다 (병이 나음) v.. 2025. 3. 28.
돼서 vs 되서, 돼도 VS 되도, 되게 VS 돼게, 되니까 VS 돼니까 차이 정리 되다의 활용형, 어디까지 알고 있나요? ✍️ 활용형이라고 하면 먼가 어렵게 느껴지는데... 저번시간에 이어 저도 헷갈리는 4가지 표현 정리해볼게요!글을 쓰다 보면 ‘돼서’, ‘돼도’, ‘되게’, ‘되니까’ 같은 표현이 참 자주 등장해요. 그런데 가끔 “되서, 되도, 돼게, 돼니까”처럼 얼핏 보면 맞는 것 같은데 어딘가 어색한 표현을 쓰게 될 때가 있어요. 그래서 다시는 헷갈리지 않게 이번 기회에 제대로 정리하고 넘어가려고해요! 저처럼 기초에 약하신 분들 오세요 오세요~~!! 발음은 비슷한데 표기에서는 왜 정확하게 구분해야 할까요?되다의 활용형 중 헷갈리기 쉬운 표현들을 예시와 함께 아주 쉽게 정리해놨으니 아래 확인해주세요 ~✅ 먼저 되다의 기본 원리부터!되다 + 어 = 되어 → 줄여서 돼그래서 우리가 자.. 2025. 3.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