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꾸 헷갈리는 띄어쓰기, 기준이 뭘까요? ✍️
'세 명' 이 맞을까요? vs '세명'이 맞을까요?글을 쓰다 보면 맞춤법보다 더 어려운 게 바로 띄어쓰기예요.소리로는 구분되지 않지만, 쓰기에서는 구분이 꼭 필요한 부분이죠.“같이갈게요”, “먹는걸좋아해요”, “할수있다” 등읽으면 다 알겠지만 붙여 쓰면 이상하고, 띄어야 할지 애매할 때가 정말 많아요.왜 어떤 건 붙이고, 어떤 건 띄어 써야 할까요? 이번 글에서는 자주 틀리는 띄어쓰기의 기준을 딱 정리해볼게요!✅ 띄어쓰기 기준, 이렇게 생각해보세요!1. 조사는 앞말에 붙여 쓴다조사는 주어, 목적어, 부사어 등을 만드는 말이에요.예: 책을, 밥이, 집에서, 너랑✅ 예시:나는 밥을 먹었다. (O)나는 밥 을 먹었다. (X)2. 의존 명사는 띄어 쓴다'것', '수', '줄', '대로', '만큼' 등이 있어요...
2025. 3. 28.
돼서 vs 되서, 돼도 VS 되도, 되게 VS 돼게, 되니까 VS 돼니까 차이 정리
되다의 활용형, 어디까지 알고 있나요? ✍️ 활용형이라고 하면 먼가 어렵게 느껴지는데... 저번시간에 이어 저도 헷갈리는 4가지 표현 정리해볼게요!글을 쓰다 보면 ‘돼서’, ‘돼도’, ‘되게’, ‘되니까’ 같은 표현이 참 자주 등장해요. 그런데 가끔 “되서, 되도, 돼게, 돼니까”처럼 얼핏 보면 맞는 것 같은데 어딘가 어색한 표현을 쓰게 될 때가 있어요. 그래서 다시는 헷갈리지 않게 이번 기회에 제대로 정리하고 넘어가려고해요! 저처럼 기초에 약하신 분들 오세요 오세요~~!! 발음은 비슷한데 표기에서는 왜 정확하게 구분해야 할까요?되다의 활용형 중 헷갈리기 쉬운 표현들을 예시와 함께 아주 쉽게 정리해놨으니 아래 확인해주세요 ~✅ 먼저 되다의 기본 원리부터!되다 + 어 = 되어 → 줄여서 돼그래서 우리가 자..
2025. 3.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