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를 정확하게 전하는 글, 설명문에도 방법이 있어요!"
누군가에게 마음을 전하고 싶을 때,
감정을 담아 편지를 쓸 수도 있고,
정보를 전달하고 싶을 때는 팁 정리 글을 쓸 수도 있어요.
그런데 이렇게 쓰는 방식마다 글의 갈래가 달라진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글을 더 잘 쓰고 싶다면, 내가 쓰려는 글이 어떤 갈래에 속하는지 먼저 아는 게 중요해요.
이번 글에서는 설명문의 특징을 함께 정리해볼게요!
✅ 설명문
- 정보를 정확하고 알기 쉽게 전달하는 글이에요.
- 사전, 안내문, 백과사전, 교과서 글 등
- ✅ 핵심은: 객관성 + 이해도
✅ 설명문 잘 쓰는 방법
- 독자가 모를 수 있다는 전제로 시작하기
→ 너무 당연한 배경지식이라도 간단히 정리해 주는 것이 좋아요. - 핵심 개념을 정의하기
→ 주제를 명확히 규정하면 글의 흐름이 흔들리지 않아요. - 예시와 비교를 활용하기
→ 개념만 늘어놓으면 어렵게 느껴지므로, 실제 사례나 비교를 통해 쉽게 설명해요. - 순서와 구조에 따라 단계적으로 쓰기
→ 시간의 흐름, 원인과 결과, 문제와 해결 등 체계적인 구조로 구성해요. - 간결하고 명확한 문장 사용
→ 어려운 단어나 긴 문장은 피하고, 짧고 정확하게!
⚠️ 설명문 쓸 때 주의할 점
- ❌ 감정이나 주관이 개입되지 않도록 주의
설명문은 감상을 나누는 글이 아니라 정보를 전달하는 글이에요.
따라서 "나는 ~라고 생각한다"보다는 **"~이다"**처럼 사실 중심 문장을 써야 해요. - ❌ 전문 용어만 나열하지 않기
아무리 정확한 정보라도, 독자가 이해하지 못하면 의미가 없어요.
쉬운 말, 일상적인 예시와 함께 쓰는 게 좋아요. - ❌ 문장 흐름이 끊기지 않도록 연결어 사용하기
예를 들어, "첫째, 둘째", "또한", "이와 같이" 같은 연결 표현은
글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만들어줘요.
✏️설명문, 어떻게 써야할까요?
설명문은 정보를 쉽게 전달하는 글이에요. 예를 들어, 설명문이 무엇인지 설명하는 글도 하나의 설명문이 될 수 있어요. 아래는 설명문을 주제로 한 설명문 예시입니다:
📝 설명문 예시
주제: 설명문
정의 → 목적 → 설명 → 예시 → 추가설명 → 부연설명 → 비유 → 결론
설명문은 독자에게 어떤 사실이나 개념을 이해시키기 위한 글입니다.(정의) 이 글의 목적은 독자가 새로운 정보를 쉽게 받아들이도록 돕는 데 있습니다. (목적) 설명문에는 감정이나 주장보다는 정확한 정보와 예시가 담겨야 합니다. 글을 쓸 때는 개념을 먼저 정의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비교나 사례를 활용합니다. (설명) 예를 들어, ‘물의 순환’을 설명할 때는 증발, 응결, 강수라는 단계적 흐름을 순서대로 쓰면 좋습니다. (예시) 문장은 되도록 짧고 명확해야 하며, 전문 용어는 쉬운 말로 풀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추가설명) 또, 연결어를 사용해 문단 간 흐름을 자연스럽게 이어야 합니다. (부연설명) 설명문은 마치 선생님이 칠판 앞에서 설명하듯, 친절하고 구조적으로 써야 합니다. (비유) 독자가 “아, 알겠다!”고 느낄 수 있다면, 그 글은 훌륭한 설명문이 됩니다. (결론)
✍️ 설명문의 전형적인 구조
- 정의
- 글의 주제 개념을 설명해요.
- 예: “설명문이란 ~이다.”
- 목적
- 왜 이 개념을 설명하는지 밝혀요.
- 예: “이 글은 ~을 돕기 위해 썼다.”
- 설명
- 개념을 좀 더 구체화하거나 구성 요소를 나열해요.
- 예시 / 비교
-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실생활 사례나 비교 대상을 제시해요.
- 추가 설명
- 실제 쓰는 팁이나 특징을 덧붙여요.
- 부연 설명 / 연결
- 흐름과 맥락을 부드럽게 이어주고 보충해 줘요.
- 비유
- 쉬운 이미지로 설명 내용을 한 번 더 감각적으로 전달해요.
- “선생님이 칠판 앞에서 설명하듯…”
- 결론
- 전체 내용을 한 줄로 정리하거나 “이렇게 하면 좋은 설명문이 됩니다” 식의 마무리를 해요.
✍️ 마무리하며
설명문은 말 그대로 설명하는 글이지만,
그 안에는 상대를 배려하는 마음이 담겨 있어야 해요.
‘내가 아는 것을 어떻게 하면 쉽게 전달할 수 있을까?’를 고민하는 글이니까요.
단순히 아는 걸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읽는 사람이 “아~ 그렇구나!” 하고 고개를 끄덕일 수 있도록 쓰는 것이 중요해요.
하나의 개념을 명확하게 설명해보는 연습,
오늘부터 한 번 해볼까요? 😊
'루나의 뇌구조 > 루나의 문장 실험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상문, 어떻게 써야 할까요? ✍️ (0) | 2025.03.29 |
---|---|
논설문, 어떻게 써야 할까요? ✍️ (0) | 2025.03.29 |
글쓰기의 주요 갈래 6가지 "글에도 갈래가 있어요?" ✍️ (0) | 2025.03.28 |
자꾸 헷갈리는 띄어쓰기, 기준이 뭘까요? ✍️ (0) | 2025.03.28 |
자주 헷갈리는 맞춤법+띄어쓰기 30가지 - 3탄 ✍️ (0) | 2025.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