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루나의 뇌구조/루나의 문장 실험실

논설문, 어떻게 써야 할까요? ✍️

by LEE 루나 2025. 3. 29.

"내 생각을 글로 설득하려면, 논설문에도 공식이 있어요!"

누군가에게 내 생각을 말로 설득하고 싶을 때,
토론을 하거나 의견을 나누기도 하죠.
하지만 글로 내 주장을 설득할 땐, 또 다른 방법이 필요해요.

그럴 때 사용하는 글이 바로 논설문이에요.
이번 글에서는 논설문의 특징과 쓰는 방법을 함께 정리해볼게요!


✅ 논설문

  • 자신의 생각이나 주장을 독자에게 설득력 있게 전달하는 글이에요.
  • 신문 사설, 칼럼, 찬반 토론문 등
  • ✅ 핵심은: 논리 + 근거 + 설득력

✅ 논설문 잘 쓰는 방법

  1. 명확한 주장 세우기
    → 논설문은 주장부터 분명해야 해요. 모호한 입장은 설득력을 떨어뜨려요.
  2. 근거 2~3개 제시하기
    → 이유 없이 주장을 말하면 독자가 납득하지 않아요. 경험, 통계, 사례, 인용 등을 활용해요.
  3. 반대 의견을 예상하고 반박하기
    → 반대 입장을 고려하고 그것을 반박하면 더 설득력 있는 글이 돼요.
  4. 논리적 흐름을 갖춘 구조 사용하기
    서론(주장) → 본론(근거) → 결론(요약 + 강조)의 삼단 구조가 기본이에요.
  5. 객관적이고 공손한 표현 사용하기
    → 독자를 비난하거나 감정적으로 몰아가면 오히려 반감을 살 수 있어요.

⚠️ 논설문 쓸 때 주의할 점

  • ❌ 감정에 치우친 주장
    → 감정은 줄이고, 자료와 사실 중심의 논리로 설득해야 해요.
  • ❌ 주장만 있고 근거가 없는 글
    → 주장은 시작일 뿐, 근거가 뒷받침돼야 글이 완성돼요.
  • ❌ 일방적인 비난이나 공격
    → 상대를 배려하면서 주장해야 독자의 신뢰를 얻을 수 있어요.

✏️ 논설문, 어떻게 써야할까요? (논설문 예시)

서론(주장) → 본론(근거) → 결론(요약 + 강조)의 삼단 구조

 

주제: “학교에 스마트폰 사용을 허용해야 할까?”

 

서론

학교에서 스마트폰 사용을 허용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현대 사회에서 스마트폰은 단순한 통신 수단을 넘어 학습과 안전을 위한 중요한 도구로 자리 잡고 있기 때문입니다.

 

본론

첫째, 스마트폰은 학습 보조 도구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학생들은 수업 시간에 전자사전이나 학습 앱을 사용해 개념을 더 빠르고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둘째, 긴급 상황에서 스마트폰은 학생들의 안전을 지키는 수단이 됩니다. 부모와의 연락이나 구조 요청 등, 즉각적인 대응이 필요한 상황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물론, 스마트폰이 수업에 방해가 될 수 있다는 우려도 있습니다. 하지만 학교에서 명확한 사용 규칙을 마련하고 지도한다면, 오히려 책임감 있는 사용 습관을 기를 수 있습니다.

 

결론

무조건적인 금지보다 올바른 사용 방법을 가르치는 것이 더 현실적이고 효과적인 대응이라고 생각합니다. 스마트폰 사용을 허용함으로써 학생들은 기술을 도구로 활용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으며, 이는 미래 사회를 준비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입니다.


✍️ 마무리하며

 

논설문은 단순히 ‘내 생각은 이래요’를 말하는 게 아니라,
‘왜 그런지, 그래서 어떤 점이 중요한지’를 조리 있게 설명하는 글이에요.

내 생각을 말할 수 있는 건 누구나 가능하지만,
생각을 글로 설득력 있게 풀어내는 건 연습이 필요해요.

오늘은 내가 정말 말하고 싶은 주제 하나를 정해서,
논설문 형식으로 주장부터 써보는 건 어때요? 😊